23호 [문화읽기]소확행은 나만의 특수한 사고 체계다

 












[문화읽기]



 

소확행은 나만의 특수한 사고체계다

삶의 균형과 행복의 기준은 내가 만들어야 한다


 

시험, 연애, 취업, 되는 것 하나 없다. 도시를 탈출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고향에서의 평범한 일상에서 평소 잊고 살았던 ‘작은 행복’을발견하게 된다. 일본 만화(2002)를 원작으로 한, 한국 영화 《리틀 포레스트Little Forest》(2018, 임순례 감독)의 줄거리. 워라밸과 소확행이라는사회적 분위기가 잘 담겨 주목을 받았는데, ‘힐링 된다’, ‘짠내 난다’ 등 반응은 가지각색. 당신에게 워라밸과 소확행은 어떤 의미인가?


 

글 정호훈 일러스트 청운










 

불행한 나라의 행복한 국민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꼴찌, 자살률은 일등. 행복이라는 목적지에 가기 위해 불행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하는 사회의 결과다. 하지만 요즘 우리나라는 행복에 빠져있는 듯하다. 근로시간 단축을 골자로 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 시행으로 일명 ‘워라밸Work-life balance’이 실현된 듯하고, 다양한 ‘소확행 아이템’으로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도 누리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국민 과자로 유명한 오리온 ‘초코 파이’는 먹화점의 대명사인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디저트 전문매장을 오픈하여 프리미엄 디저트를 선보였다. 뷰티 업계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는 마스크팩, 립스틱, 디퓨저 등의 아이템을 내놓고 있다. 자신을 위한 작은 투자 혹은 소비가 유행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워라밸 트렌드가 합쳐져 해외여행을 즐기는 경향도 두드러진다. 단연 일본이 선호도 1위 여행지인데, 소확행 트렌드와 부합하기 때문. 이러한 것을 반영하듯, 유통과 여행업에서는 소확행 특수라는 말까지돌고 있다. ‘힐링’이라는 개념이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자기중심적으로 형성되며 사람들은 쳇바퀴 같은삶에서 나름의 행복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소비심리의 변화에서 찾는다. 수년간 지속된 경제 불황과 저성장으로 소비를 통한 과시와 경쟁이 아닌, 스스로 만족하고 작은 위안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 생겨났기 때문이라고들 한다. 그런데, 지난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여행으로 쓴돈이 현대자동차가 한해 수출로 얻은 이익(40억 달러)의 6배가 넘는다고 하는데, 과연 우리는 이러한 ‘소소한’ 소비를 통해 진정 행복해지고 있는가?










 

강요된 삶의 균형, 워라






 

워라밸은 개인의 업무와 사생활 간의 균형을 묘사하는 단어로 1970년대 후반 영국에서 등장했는데,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의 ≪제3물결The Third Wave≫(198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었다. 앨빈 토플러 는 ‘제3물결’(정보사회)은 ‘제2물결’(산업사회)을 지배해 온 원리를 붕괴하고, “보다 인간적이고 다양한 민주적 사회가 이룩될 것이며 이에 따라 인간관과 노동 · 가족 · 사회 · 정치의 형태도 근본적으로 달라진다.”고 예견했다. 그는 ‘제2물결’에서는 잠자고 깨어 있고, 일하고 노는 시간의 리듬이 근본적으로 기계의 진동에 얽매여 있는데, ‘제3물결’의 정보혁명으로 기존의 관료주의는 무너지고 결국 직장에서의 일의 변화가자연스레 삶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우리보다 선진국의 경우, 일과 가정에 깊이 파고든 ‘자본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욕망이 젠Zen 스타일부터 슬로우라이프Slow life 등으로 다양한 사회적 ‘자각’ 운동으로 확장되었는데, 결국 삶의 가치와 의미에 하나씩 눈뜨고 실천하는 삶을 통해 더 건강하고 충만한 삶을 살고자 했던 것이다. 과거, 맹자孟子는 “무항산 무항심無恒産 無恒心”이라는 말로, “무릇 백성은 집과 논밭, 생업이 있어 생활이 안정되어야바른 마음을 가질 수 있다.” 하였는데,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4차 산업혁명은 장기적으로 사람의일자리를 없앨 것으로 전망되므로, 워라밸이 단순히 ‘저녁이 있는 삶 추구’ 정도로 논의되어서는 안 된다.그럼에도 미디어에서는 퇴사하고 여행을 하거나 자기 사업을 하는 모습을 멋지게 보여준다든지 혹은 워라밸 트렌드나 운운하며 워라밸 소비를 조장하며, 워라밸을 ‘예능거리’로써 다루는 것은 우리에게 잘못된워라밸을 강요하는 것과 다름없다










 

소확행이라는 헛헛한 행복



소확행은 집, 직장, 결혼 등 크지만 성취가 불확실한 행복을 좇기보다는, 작지만 확실하게 성취할 수 있는행복을 추구하는 소위 ‘N포세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행복 추구법이라 할 수 있다. 누구는 이것이 올해의소비 트렌드라며 떠들어 대지만, 사실 이것은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에세이에서 처음 쓰였다. 하루키는 1980년대 일본의 경제 침체 시기, 사회라는 커다란 세계가 아닌 자신들의 작은 세계에 만족하며 사는 일본인의 심리를 소확행이라는 용어로 담아냈는데, 올해 들어 소확행이 소비 트렌드로 주목받은 것은 일본 사례와 무관하지 않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난 10여 년간 소비행태가 과시에서 가치로 변한 지금의 우리 사회와 비슷한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하루키의 소확행과 달리, 우리의 소확행은 워라밸과 같이 소비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혹은 소비를조장하는 ‘트렌드’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처럼 보인다. 소비를 통한 행복 추구는 결국 공허함과 자괴감을줄 뿐이다. 소소하지만 ‘확실한’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미디어가 구축한 하나의 허상虛像이기 때문이다.이것은 자칫 더 큰 불행을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 이처럼, 일자리도 없고 결혼도 못 하고 있는 ‘N포세대’에게 ‘일가정양립’이라니? 경기가 나아질 것 같지 않고 일자리도 늘어날 기미가 안 보이니, 어쩔 수 없는 상황임을 수긍하고 적게 벌고 적게 쓰며 자기만족이나 느끼라는 사회의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이데올로기인가? 도대체 우리는 삶의 의미이자 목표가 되어야 할 행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Boys, don’t be ambitious?Boys, be ambitious, again!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돌돌 말은 깨끗한 팬티가 잔뜩 쌓여 있다는 것은 인생에 있어서 작기는小 하지만 확確고한 행幸복의 하나 (줄여서 소확행)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데, 이건 어쩌면 나만의 특수한 사고 체계인지도 모르겠다.···· 또 러닝셔츠도 상당히 좋아한다. 막 새로 산 정결한 면 냄새가 퐁퐁 풍기는 하얀 셔츠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 쓸 때의 그 기분이란 역시 소확행의 하나이다.”(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랑겔한스 섬의 오후ランゲルハンス島の午後≫(1986) 중)

하루키의 소확행과 달리, 우리의 소확행은 워라밸과 같이 소비사회를 유지이렇듯 하루키가 말한 소확행은 소비사회가 만들어준 소비로 인한 ‘가짜 행복’이 아닌, 자기만의 생각이나기분, 혹은 취향을 기준으로 한 ‘진짜 행복’이리라. 사람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하여 통제권을 가지고있다는 ‘자기통제감’을 많이 느낄수록 만족감이 커지고, ‘실제로’ 삶에 대한 통제력이 커질 때 행복을 더 많이 느끼므로 하루키가 말한 소확행은 이 퍽퍽한 세상에 진정 중요한 의미다. “Boys, be ambitious!”라고 하기엔 퍽퍽한 시대지만, 소확행을 빌어 “Boys, don’t be ambitious”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세상사가 다그렇지만, 전적으로 나쁘거나 좋은 것은 없다. 쇼핑몰에서 워라밸과 소확행 상품을 사면 행복해지는 것이아니니, 세상 이슈에 흔들리지 말고 하루키처럼 자기만의 행복을 찾아 노력하는 것이 결국 행복으로 가는길이겠다










 




댓글달기_글자수 500자로 제한되며 욕설, 비방글 삭제됩니다.

댓글입력
  • 댓글 내용이 없습니다 ..



수원문화재단 바로가기